OSPF 라우팅 테이블 유지 과정
: 라우터간 헬로 패킷을 주고 받아 네이버 및 Adjacent 관계를 구성
-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네이버를 Adjacent 라고 함)
: Adjacent 라우터끼리만 라우팅 정보를 교환함
- OSPF 라우팅 정보는 LSA(Link State Advertisement)라고 함
- 전송받은 LSA를 Link state database 에 저장
: LSA교환이 끝나면 SPF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계산후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
: 주기적인 헬로패킷 전송하여 정상 작동을 알림
: 네트워크 상태가 변하면 위의과정을 반복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만듬
OSPF 패킷의 종류
패킷 이름 |
역할 |
Hello |
네이버 구성 및 유지 |
Database Description |
데이터베이스 내용 요약 |
Link State Request |
데이터베이스 상세내용 요청 |
Link State Update |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
Link State Ack |
ACK 전송 |
: Hello Packet
- 네이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사용
- 멀티캐스트를 사용
헬로패킷에 포함되는 내용들
: Router ID, Area ID, Password, Subnet Mask, Hello interval, Stub Area, Priority, Dead interval, DR, BDR, Neighbor list
네이버 끼리 일치해야 되는 정보
: Area ID, Password, Subnet Mask, Hello/Dead interval, Stub Area
: DDP Packet
- DDP는 LSA 들을 요약한 정보를 알려주는 패킷
- LSA 목록을 상대 라우터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
- DBD패킷이라고도 함
: LSR
- DDP를 보고 없는 네트워크가 있으면 상세한 내용을 요청할 때 사용하는 패킷
: LSU
- 상대에게 LSR을 받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변했을 경우 해당 라우팅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
- LSU는 LSA를 실어 나를 때 사용하는 패킷
: LS ACK
- OSPF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릴때 사용
- DDP, LSR, LSU는 반드시 LS ACK를 사용하여 상대에게 알려야 함
OSPF - Hello/Dead intervals
OSPF Environment |
Hello Interval |
Dead Interval |
Broadcast |
10 sec |
40 sec |
Point-to-Point |
10 sec |
40 sec |
Point-to-Multipoint |
30 sec | 40 sec |
NBMA | 30 sec | 40 sec |
: Hello/Dead 주기 변경 방법
- (config-if)# ip ospf hello-interval 15
- (config-if)# ip ospf hello-interval 60
: 반드시 Hello interval의 4배로 설정해야함
DR / BDR
: DR
- LSA 중계역할 라우터
: BDR
- DR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신 DR역할을 하는 백업 라우터
선출순서
: 인터페이스의 OSPF Priority 값이 가장 높은 라우터가 DR이 됨(기본값 = 1)
priority 값 변경
(config-if)# ip ospf priority |값|
: 우선순위가 동일하면 Router-id 가 높은것이 DR 그 다음것이 BDR 이 됨
: 한번 DR, BDR이 되면 더 높은 우선순위가 추가되어도 라우팅을 재부팅하거나
'Clear ip ospf process' 명령어를 수행하기 전까지 다시 선출하지 않음
- DR이나 BDR의 우선순위를 0으로 조정하면 DR, BDR을 즉시 다시 선출함
: DR이 다운되면 BDR이 DR이되고, BDR을 새로 선출함
- DR, BDR이 아닌 라우터를 DROTHER 라우터라고 함
- 확인 : #show ip ospf neighbor
: DR / BDR 이 없으면 모든 라우터끼리 LSA를 교환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중복된 LSA 와 LS ACK 가 많이 발생
OSPF Area
: Area가 하나일 때는 Area 번호를 아무것이나 사용해도 됨
- 두개이상일 때에는 반드시 Area 번호를 0부터 설정해야함
- 항상 Area0 과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야 함
: Area 구분 이유
- 불안정한 네트워크에서도 Area내부로만 국한 시킬수 있음
- Area별로 축약이 가능(토폴로지의 변화가 다른 Area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킴)
- 다른 Area들의 라우팅 정보를 차단시켜 라우팅 테이블을 많이 줄일 수 있음
* DR / BDR 재 설정시
: #clear ip ospf process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N(Wide Area Network) (0) | 2013.04.11 |
---|---|
Access-List (0) | 2013.04.09 |
RIP Routing (0) | 2013.04.04 |
IP routing - B (0) | 2013.04.02 |
IP Routing - A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