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구성절차
: Interface에 IP주소를 할당
: Next Hop 까지의 통신확인(ping)
: 넥스트 홉 IP주소까지 통신이 되면 토폴로지에 따라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
: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고, 원격 네트워크까지 통신이 되는지 확인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
- Static : Default, Static routing
- Dynamic : RIP, EIGRP, OSPF 등
: 라우팅 정보의 내용
- Distance vector : RIP, IGRP
- Link state : OSPF, IS-IS
- Hybrid : EIGRP
: 라우팅 정보에 서브넷 마스크 정보 포함여부
- Classful : RIPv1, IGRP
- Classless : RIPv2, EIGRP, OSPF, IS-IS
: 동일 AS 또는 서로 다른 AS간에 사용되는 여부
- IGP : RIP, EIGRP, OSPF, IS-IS
- EGP : BGPv4
정적경로와 동적 경로의 차이
: Static Route(정적 경로)
-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한 경로를 사용
- Redistribute Static에 의해 전파되게 할 수 있음.
- 주로 Stub Network에서 많이 사용
: Stub Network - 가장 마지막 단이 되는 네트워크
장점
: 부하가 거의 없다.
: 관리자의 의도대로 정밀하게 제어 가능
단점
: 네트워크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
설정방법
: (config)# ip route |Network| |Mask| |Address/Interface| |Distance| |Permanent|
- Network : 목적지 네트워크 또는 Subnet 명시
- Mask : Network의 서브넷 마스크
- Address : Next Hop Router의 IP Address
- Interface : Netxt Hop Router로 Exit Interface
- Distance : Administrative Distance값, Option
: AD값이 낮은것이 우선순위가됨
- Permanent : 해당 Interface가 shutdown되어도, 라우팅 테이블에서 결오가 제거되지 않게 함, Option
: 설정예 ) (config)# ip route 100.1.1.0 255.255.255.0 172.16.1.1
롱기스트 매치 룰
: 네트워크 주소가 가장 길게 맞는 곳으로 라우팅
플로팅 스태틱 루트(Floating static)
: 정적경로의 AD값을 높게하여 평소에는 라우팅 테이블에 설치하지 않고 라인이 다운되었을 때만 설치되게 하는 경로
: Dynamic Route(동적 경로)
- 라우팅 프로토콜이 네트워크 변화를 수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집한 경로를 사용
AS(Autonomous System)
: 동일한 관리 도메인내의 네트워크들의 집합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시스템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
: RIP, EIGRP, OSPF, IGRP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시스템끼리와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
: BGP
AD값
Route Source |
Default Distance |
Connected interface |
0 |
Static Route |
1 |
eBGP |
20 |
Internal EIGRP |
90 |
IGRP |
100 |
OSPF |
110 |
IS-IS |
115 |
RIP |
120 |
External EIGRP |
170 |
iBGP |
200 |
Unknown |
255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
: Distance Vector
-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방향(Vector)과 거리(Distance)를 통해서 결정하는 프로토콜
: Link State
- SPF(Shortest Path First) 기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라우터가 별도의 Topology DB(네트워크 구성)을 만들고 DB중 최상의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여 패킷에 대한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Hybrid Routing
-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의 장점을 모아서 만든 프로토콜
Classful Routing
: 네트워크 정보를 보낼 때 서브넷마스크 정보를 넘기지 않음
: Default Subnet Mask를 사용
: 네트워크가 같은 모든 서브넷은 동일한 서브넷마스크를 사용
: RIPv1, IGRP
: 컨버전스 시간 느림
Classless Routing
: 네트워크 정보를 보낼 때 서브넷마스크 정보를 포함하여 보냄
: VLSM(Variable-length subnet mask)를 지원
: 필요에 따라 Summarize 가능
: RIPv2, EIGRP, OSPF, IS-IS
: 컨버전스 시간 빠름
메트릭 비교
Routing Protocol |
Metric |
RIPv1 |
홉 카운트 |
RIPv2 |
홉 카운트 |
IGRP |
강제된 대역폭과 누적 지연을 토대로 계산 : 신뢰성, 로드, MTU포함 |
EIGRP |
IGRP의 계산에서 256을 곱함 |
OSPF |
기본대역폭에서 도출된 Cost |
IS-IS |
기본대역폭에서 도출된 Cost |
BGP |
어트리뷰트(attribute) |
라우팅 경로 설정방법
: 특정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복수 개 있을 때 메트릭 값이 가장 낮은 것이 선택
: AD값이 가장 낮은 것이 선택
: 롱기스트 매치 룰을 적용시켜 가장 길게 일치되는 경로를 선택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P Routing (0) | 2013.04.04 |
---|---|
IP routing - B (0) | 2013.04.02 |
OSPF 프로토콜 - A (0) | 2013.04.01 |
VLAN (0) | 2013.03.29 |
Cisco IOS 초기설정 (0) | 201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