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릿지와 스위치는 다섯가지 기능이 있다.

1. Learning : 출발지의 MAC주소를 학습

- MAC Address table 에 저장 시킴

2. Flooding : 주소를 모르면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

- MAC table 에 없는 주소라면 Flooding 발생(브로드 캐스트나, 멀티캐스트에서도 발생)

3. Forwarding : 해당 포트로 건네준다.

4. Filtering : 다른포트로는 못 건너가게 막는다

-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주는 역할

5. Aging : 나이를 먹는다.

- MAC table 을 주기적으로 초기화 시킨다.(기본값 - 300초)

 

스위치와 브릿지의 프레임 처리 방식

스토어-앤-포워드 :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후 처리를 시작하는 방식, 에러복구능력 탁월함

컷스루 : 목적지 주소만 보고 바로 포워딩, 처음 48 비트만 봄, 에러복구에 취약함.

프래그먼트-프리 : 스토어앤포워드 + 컷스루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컷스루와 비슷하지만

512비트를 보게되므로 에러감지능력이 컷스루에 비하여 우수함.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P(Spanning Tree Protocol)  (0) 2013.03.19
IP주소  (0) 2013.03.18
Switch, Bridge, Hub (스위치, 브릿지, 허브)  (0) 2013.03.17
OSI 7 계층  (0) 2013.03.17
Unicast, Broadcast, Multicast  (0) 2013.03.17
Posted by 마광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