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802.1d Spanning Tree Protocol 표준 프로토콜
스패닝 트리 계산을 위한 두 가지 개념
1. Bridge ID
2. PathCost
Bandwidth(대역폭) |
STP Cost(Path Cost) |
10Mbps |
100 |
100Mbps |
19 |
1Gbps | 4 |
10Gbps | 2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기본 동작
1.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릿지(Root Bridge)를 갖는다.
2. 루트 브릿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릿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갖는다.
3.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를 갖는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루트 브릿지와 DP포트 정하는 순서
1단계 : 가장 낮은 Root BID 선출
2단계 :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이 가장 작은 경로
3단계 : BID 값이 가장 낮은 스위치
4단계 : 포트 ID가 낮은 포트
스패닝 트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레임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 Root BID, Root Path Cost, Sender BID, Port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 매 2초마다 보냄
브릿지의 Priority 값을 변경하는 명령어
SW-3(config)#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100
적용확인 명령어
SW-3(config)# show spanning-tree
스패닝 트리의 컨버전스 과정
Disable : Port를 사용할 수 없거나 포트를 일부러 Down 시켜놓은 상태
Blocking : 스위치를 켜거나 Disable 포트를 살릴때, BPDU를 주고 받기 시작하는 단계
- BPDU 주고 받음
Listening : Blocking 상태의 Port가 RP나 DP로 선정될때
Learning : Listening 상태에 있는 포트가 포워딩 딜레이(Forwarding Delay)
기본값인 15초동안 유지할때
- Mac Address Table 배우기 시작함
Forwarding : Learning 상태에 있는 포트가 포워딩 딜레이(Forwarding Delay)
기본값인 15초동안 유지하면 러닝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감
- 데이터 전송이 시작됨
Hello Time(헬로타임) : 루트 브릿지가 한 번씩 헬로 BPDU를 보내는 간격
Max Age(맥스 에이지) : 헬로패킷을 받지 못하는 최대 시간
※ 맥스에이지가 지나게 되면 스패닝 트리 구조 변경을 시작한다.
Forwarding Delay(포워딩 딜레이) : 포트가 블로킹상태에서 포워딩 상태로 넘어갈 때까지 걸리는 시간. 약 30초(컨버전스시간)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개선 방안
: RSTP(Rapid Spanning Tree Protocol) - IEEE 802.1w RSTP
: Port fast, Up-link Fast, Backbone Fas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Virtual LAN) (0) | 2013.03.20 |
---|---|
Cisco 장비 show 명령어 모음 (0) | 2013.03.20 |
IP주소 (0) | 2013.03.18 |
브릿지(Bridge)와 스위치(Switch)의 기능 (0) | 2013.03.17 |
Switch, Bridge, Hub (스위치, 브릿지, 허브) (0) | 201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