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위칭 

: 라우터가 특정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패킷을 목적지로 가는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것

: 스위칭 종류

- 프로세스스위칭

- 패스트 스위칭

- CEF(Cisco Express Switching)

 

프로세스 스위칭(Process switching)

: 패킷을 전송할 때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 후 넥스트 홉을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패킷별 부하분산)

: CPU에 많은 부하가 걸리며, 스위칭 속도가 느림

: 패킷별 부하분산, 같은 경로패킷마다 넥스트홉이 변경됨

설정방법

: (config-if)# no ip route-cache

- 인터페이스마다 적용, 라우팅 캐시를 사용하지 않음

* no ip cef 가 적용되어있어야 한다.

 

패스트 스위칭(Fast switching)

: 목적지로 가는 패킷의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 두번째 부터는 캐시 정보를 이용하는 전송 방식

: 목적지별 부하분산, 목적지 IP가 같으면 동일 인터페이스로 전송

: 프로세스 스위칭에 비해 스위칭 속도가 매우 빨라짐

설정방법

: (config-if)# ip route-cache

- 인터페이스마다 적용, 라우팅 캐시를 사용함

 

CEF 스위칭 (Cisco Express Switching)

: 라우팅 테이블을 캐시로 복사

: 캐시 검색속도가 더 빠름

: 출발지 IP와 목적지 IP주소를 사용하여 출발지 - 목적지 별로 부하분산

: 서버 대 서버일 경우 ip load-sharing per-packet의 추가 설정 필요

설정방법

: (config)# ip cef 적용

 

라우터에서 지나가는 패킷 보기

: (config-if)# ip accounting output-packets

: 설정후 # show ip accounting

 

: (config-if)# ip route-cache flow

: 설정후 # show ip cache flow

'CCNP > 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GRP 프로토콜 - A  (0) 2013.04.01
RIP 프로토콜 - C (실습예제)  (0) 2013.03.27
RIP 프로토콜 - B  (0) 2013.03.26
RIP 프로토콜 - A  (0) 2013.03.26
스태틱(Static) 라우팅 - A  (0) 2013.03.26
Posted by 마광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