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GRP
: 시스코전용
: Hybrid protocol = Link state + Distance vector
: 빠른 컨버전스 (DUAL 알고리즘 사용)
: 변화된 링크에 대해서만 업데이트 하므로 대역폭을 적게 사용
: 주기적인 업데이트 하지 않음
: DUAL 알고리즘 - 갈 수 있는 모든 경로에 대해 Table을 생성하여 Successor를 생성
: Multicast 사용(224.0.0.10)
EIGRP의 3가지 Table
: Neighbor Table
- 인접라우터에 대한 Table을 보유하여 인접 라우터간의 양방향 통신 가능
: Topology Table
- EIGRP를 사용하여 알게된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Topology Table을 유지
토폴로지 테이블 확인
- # show ip eigrp topology all-link
# show ip eigrp topology
: Routing Table
- Topology Table을 참고하여,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보관
: Successor - 주요경로 (Routing Table에 저장)
: Feasible Successor - 백업경로(Topology Table에 저장)
EIGRP와 IGRP 비교
: Unequal Cost Path Load Balancing
- Varience 값을 적용하여 라우팅테이블에 더 많은 경로를 올려 로드밸런싱 가능
: IGRP보다 Network Overhead 감소
: OSPF보다 유연성이있다 (수동축약이 가능)
Fastethernet 구간은 ARP 프로토콜이 사용
Serial 구간에는 HDLC 프로토콜이 사용
EIGRP 설정방법
: (config)# router eigrp 1
(config-router)# eigrp router-id 1.1.1.1
(config-router)# network 1.1.1.0 0.0.0.255
(config-router)# network 1.1.12.0 0.0.0.255
(config-router)# network 1.1.13.0 0.0.0.255
(config-router)# no auto-summary
- router-id를 설정하는 이유
: 라우터의 대표주소를 정의함, 대개 루프백 주소로 잡음
- 포트에 이상이 있으면 대표주소가 수시로 바뀔수가 있으므로 이상이 생기기 쉽지 않은 루프백 주소로 잡음
: ID를 넣을때 ID가 같으면 외부네트워크의 정보가 수신이 불가능, 동일 AS에서는 같아도 됨, 내부 네트워크의 update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부정보 update시 Router-id 가 동일하면 Looping 으로 간주하여 정보를 받지 않음.
: 설정확인
- # show ip eigrp topology
EIGRP Packet
: 라우팅 경로 계산
- 네이버 테이블 생성, 토폴로지 테이블 생성, 라우팅 테이블 생성
: 라우터가 다운되면 새로운 경로를 찾음
: 5가지 패킷을 사용
- Hello, Update, Query, Reply, Ack
1. Hello
- 네이버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 224.0.0.10의 Multicast를 사용
- 매 5초마다 헬로패킷을 전송
확인 명령어
: # debug eigrp packet hello
# debug ip packet
Hello, Dead 주기 변경
: (config-if)# ip hello-interval eigrp 1 10
(config-if)# ip hold-time eigrp 1 30
Hold-Time : 헬로주기의 3배의 시간동안 헬로패킷을 받지 못하면 네이버해제
2. Update
- 새로운 경로나 기존의 경로보다 Metric이 좋은 경로가 발견된 경우에 Neighbor에 Multicast로 보내어지며 Ack를 필요로함, Multicast를 사용
- 라우팅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
- 특정 네이버에게서 수신확인 패킷을 받지 못하면, 해당 네이버에 대해서만 유니캐스트 주소로 설정하여 재전송
- NBMA 네트워크는 EIGRP 업데이트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유니캐스트로 설정
- PPP, HDLC, Point to Point 등과 같은 경우 업데이트 패킷의 목적지 주소는 네이버의 IP로 설정되어 전송, 유니캐스트 사용
Update 패킷 확인
: # debug eigrp packet update ack
3. Query
- Route가 사라지거나, Metric값이 증가된 Update를 받는 경우에, Feasible Successor를 찾게 됨, 찾지 못하는경우 네이버에 정보를 요구함
- 이더넷을 사용하는 멀티엑세스 네트워크에서는 Multicast 주소 사용
- NBMA나 Point to Point 에서는 네이버 주소인 Unicast 주소 사용
확인 명령어
: # debug eigrp packet query
# debug ip packet
# debug eigrp packets query ack reply
4. Reply
- Query에 대한 응답 Packet이며 항상 Unicast를 사용
확인 명령어
: # debug eigrp packet reply
# debug ip packet
5. ACK
- Update, Query, Reply에 대한 Acknowledgement로 항상 Unicast를 사용
- 수신확인 패킷과 헬로 패킷에는 수신확인을 해주지 않음
확인 명령어
: # debug eigrp packet ack
# debug ip packet
'CCNP > 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GRP 프로토콜 - C (0) | 2013.04.02 |
---|---|
EIGRP 프로토콜 - B (0) | 2013.04.01 |
RIP 프로토콜 - C (실습예제) (0) | 2013.03.27 |
RIP 프로토콜 - B (0) | 2013.03.26 |
RIP 프로토콜 - A (0) | 201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