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L (Virtual Tape Library)
○ 백업받는 미디어 매체를 디스크 스토리지를 사용하면서 기존의 Tape 장치 처럼 저장하는 방법
기존의 Backup 솔루션(Backbone, Veritas, Legato등) 연동
VTL 장비는 Backup 서버에게 Tape 장치로 인식
○ 데이터는 백업되는 2차 스토리지에 저장하기 전, Tape 포맷형태로 Emulation하여 저장하며,
복원 시에는 반드시VTL 엔진을 통해 1차 디스크에 Restore 한다.
○ VTL을 이용한 백업은 빠른 저장과 Restore가 가능
저장 시 압축 또는 암호화를 채택할 수 있어 저장할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비교항목 |
단순 D2D 백업 |
Software VTL |
VTL 백업 |
성능 |
40 - 50 MB/sec (디스크의 성능에 따라 다름) |
하드웨어 요소에 따라 성능 및 확장능력 달라짐 |
150MB/Sec 이상 모듈을 확장함에 따라 비례하여 늘어남 |
백업 정책 관리 |
어려움 |
기존 Tape 정책 사용 |
기존 Tape 정책 사용 |
운영 소프트웨어 |
D2D 전용 소프트웨어 필요 |
VTL 소프트웨어 추가 구매 |
기존 백업 소프트웨어 사용 |
저장방식 |
파일단위 |
스트림방식 |
스트림방식 |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 |
취약 |
없음 | 없음 |
보안성 |
취약 |
VTL 서버는 취약 데이터는 안전 |
안전 |
확장성 및 장비의 공유 |
확장의 어려움 및 장비 공유의 한계 |
VTL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운영체제의 파일시스템에 의해 제한적 - 최대 2T |
자유로운 용량확장 및 공유 가능 |
관리 |
일반적인 SAN 스토리지와 같은 관리 필요성(LUN Management, 브로비져닝, Capacity Management등) |
VTL 소프트웨어와 디스크 하드웨어를 각각 관리하여야함 |
쉬운 선치와 한 번 설치 후 관리요소 적음 |
Fragmantation |
수동 Defragmentation 필요 |
수동 Defragmentation 필요 |
제품에 따라 다름 |
설치, 구성 및 기술지원 |
수시간~수일 백업 소프트웨어와 스토리지 각 부분에 대해 별도의 기술 지원 필요 |
VTL 소프트웨어와 디스크 하드웨어 각 부분에 별도의 기술 지원 필요, 설치, 문제 원인 규명 및 해결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림 |
수분 |
비용 대비 효과 |
백업 정책 변경 필요, 백업 환경 변화 시 수동 튜닝 및 디스크 관리 필요. 백업 성능 유지를 위한 전문 인력 필요에 의한 관리 비용 증가. |
혼합된 시스템 구성을 위한 전문인력 필요, 급격한 비용 증가 가능성 존재 |
도입 비용이 저렴하고 운영 및 관리가 쉬워 전체 TOC 저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0) | 2013.07.15 |
---|---|
DPI (Deep Packet Inspection) (0) | 2013.06.08 |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0) | 2013.05.15 |
IP 마스커레이딩 (0) | 2013.05.10 |
빅데이터 (Big data) (0) | 201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