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조정 - 3

CCNP/Switch 2013. 5. 2. 20:31
반응형

이더채널

- 복수개의 포트를 하나의 포트처럼 동작시키는것

- 하나의 이더채널은 최대 8개 포트까지 구성

이더채널 구성 프로토콜

PAgP - 시스코 전용

LACP - IEEE 802.3AD 에서 만듬

 

Layer 2 이더채널

- 이더 채널로 엑세스 포트를 구성하려면 포트속도, Duflex, VLAN 번호가 같아야 함

- 이더 채널로 트렁크 포트를 구성하려면 Encapsulation, Native, Vlan번호, 허용 VLAN 번호가 같아야 함

설정방법

이더채널 만들때 Channel-group 사용

만들어진 이더채널 추가 설정시 interface port-channel

 

 (config)# interface range fa1/1 - 4

 (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on

 

확인방법

# show etherchannel summary

Group - Group 번호를 표시

Port-channel - 이더채널로 묶어진 포트들의 집합

- 이더채널 설정 interface po

- S (스위치 포트)는 포트채널이 Layer 2 인터페이스로 동작중

- 포트채널을 'no switchport' 명령어를 사용하여 레이어 3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면 S가 R (Routed Port)로 변경됨

- U는 포트채널이 정상적으로 구성되어 UP상태라는 것을 나타냄

만약 포트채널이 제대로 구성되지 않으면 U가 D(Down)으로 변경됨

Protocol - 프로토콜 표시

Ports - 이더채널에 포함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냄

 

이더채널확인

# show run

interface Port-channel 1

# show interface port-channel 1

 

Layer2 이더채널로 설정하는법

포트채널 1을 엑세스 포트로 설정하고, VLAN 2에 포함시키려면 일반 스위치 포트처럼 다음과 같이 설정

 

 (config)# interface port-channel 1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

 

포트채널 1을 트렁크로 설정, Encapsulation을 802.1Q로 하려면 일반 스위치 포트처럼 설정

 

 (config)# interface port channel 1

 (config-if)#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Layer 3 이더채널 설정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와 포트채널에 모두 'no switchport' 명령어를 사용

IP주소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부여하지 말고 반드시 포트채널에 부여해야함

 

(config)# interface range Fa1/1 - 4

 (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 on 에서는 안됨

 (config-if-range)# no switchport

 (config)# interface port-channel 1

 (config)# no switchport

 (config-if)# ip address 1.1.1.1 255.255.255.0

 

 

로드밸런싱

복수개의 경로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것

로드밸런싱

사람에 따라 균일하게 트래픽이 분산

로드셰어링

분산되는 트래픽의 양이 서로 다를 때

 

네트워크가 모두 레이어 3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면 레이어 2 로드밸런싱을 고려할 필요가 없음

- Layer 3 로드 밸런싱이 훨씬 더 정교하고 효과적이기 때문

- L2 로드 밸런싱을 구현하려면 VLAN 2개이상, 스위치 구성이 물리적으로 루프구조를 가져야 함

- L2 로드밸런싱은 루트 스위치 설정, 경로값, 브릿지, 포트ID 중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을 조정

 

루트스위치를 이용한 로드 밸런싱

 

 

 S1 설정

     - 스위치 SW1, SW2, SW3 모두에 동일한 VLAN을 설정하기 위하여, VTP Domain 구성

 

(config)# vtp domain AAA

(config)# vtp password cisco

(config)# vlan 2

 

(config)# interface range Fa1/1 , fa1/11

(config-if-range)#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trunk

 

(config)#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0

(config)# spanning-tree vlan 2 priority 4096

 

 

 S2 설정

 

(config)# interface range fa1/1 , fa1/11

(config-if-range)#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trunk

 

(config)#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config)# spanning-tree vlan 2 priority 0     >  Root-Switch

 

 

 

경로값을 이용한 로드 밸런싱

 

 

- VLAN이 4개 이상의 스위치에 걸쳐 있을 때는 루트 스위치 지정하는것 만으로는 로드밸런싱이 되지 않음

- Access switch SW4에서 각각의 VLAN 별로 경로값 조정

- L2 로드밸런싱의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

루트 ID, 경로값, Bridge ID, Port ID

- 해당 스위치에서 유일하게 직접조정 가능한 것은 경로값 뿐

- 경로값은 항상 로드밸런싱 시키려는 해당 스위치에서 직접 조정할수 있으며, 직관적이어서 편리

설정방법

(config-if)# spanning-tree vlan 1 cost 10

(config-if)# spanning-tree vlan 2 cost 10

 

Bridge ID를 이용한 로드 밸런싱

SW4의 경로값을 조정하는 대신 스위치 SW2와 SW3에서 각각의 VLAN에 대해 Bridge ID를 조정해도 로드 밸런싱이 가능

 

 SW2(config-if)#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SW3(config-if)# spanning-tree vlan 2 priority 4096

확인방법

#show spanning-tree

 

포트ID를 이용한 로드밸런싱

 

스위치 포트 ID를 조정하면 로드밸런싱 구현

Fa 0/1의 VLAN 1 값을 기본값(128)보다 작게 설정

Fa 0/10의 VLAN 10 값을 기본값(128)보다 작게 설정

설정방법

 

 (config-if)# spanning-tree vlan 1 port-priority 64

 (config-if)# spanning-tree vlan 2 port-priority 64

 

※ 두대의 스위치가 복수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트ID를 이용하기보다는 이더채널이 효율적임

- 이더 채널로 구성했을때에는 프레임별로 로드밸런싱이 이루어지므로 VLAN별 로드 밸런싱보다 더 정교한 밸런싱이 일어나며 한 링크가 다운되었을때 컨버전스시간도 빨라짐

- 그러나 이더채널로 구성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포트 ID를 이용한 조정이 필요함

 

 

 

'CCNP > Swi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yer 3 Switching  (0) 2013.05.11
RSTP (Rapid STP)  (0) 2013.05.09
STP 조정 - 2  (0) 2013.05.02
STP 조정 - 1  (0) 2013.05.01
Switch 기본  (0) 2013.04.16
Posted by 마광2
,